경제, 경영

금리, 이자, 명목금리, 실질금리 - 아주 쉽게 설명

46600 2025. 2. 22. 17:44
반응형

 

1. 금리란 무엇인가?

금리는 돈을 빌리거나 맡길 때 붙는 값이다. 쉽게 말하면, 돈을 사용하는 데 드는 비용이나 돈을 맡겨서 받는 보상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누군가에게 돈을 빌릴 때는 빌린 돈에 대해 내야 하는 추가 비용이다.
  • 은행에 돈을 맡기면 그 돈을 맡긴 대가로 받는 돈이다.

 


 

2. 금리를 쉽게 이해하는 예시

🏦 은행에 돈을 맡길 때 (저축)

  • 당신이 친구에게 돈을 맡긴다고 생각해보자.
  • 친구가 그 돈으로 물건을 사서 이익을 본다면, 당신에게도 고마움의 표시로 돈을 조금 준다.
  • 이게 바로 금리이다.

👉 예시:

  • 네가 은행에 100만 원을 1년 동안 저축하면,
  • **금리가 5%**라면 1년 후 105만 원을 돌려받는다.
  • 추가로 받은 5만 원이 금리에서 나온 돈이다.

 


🏠 돈을 빌릴 때 (대출)

  • 이번에는 당신이 친구에게 돈을 빌린다고 생각해보자.
  • 친구는 "돈을 빌려주긴 하지만, 나중에 조금 더 돌려줘!"라고 말한다.
  • 이때 추가로 돌려줘야 하는 돈이 바로 금리이다.

👉 예시:

  • 당신이 친구에게 **100만 원을 빌렸고, 금리가 5%**라면,
  • 1년 후에 105만 원을 갚아야 한다.
  • 원래 빌린 돈 100만 원 + 금리 5만 원을 더 내는 것이다.

 


 

3. 금리가 높으면 어떻게 될까?

  • 저축할 때:
    • 금리가 높으면 은행에 돈을 맡겨서 더 많이 벌 수 있다.
    • 예를 들어, **금리가 10%**라면 100만 원을 맡겨서 10만 원을 벌 수 있다.
  • 돈을 빌릴 때:
    • 금리가 높으면 돈을 빌리기 부담스럽다.
    • 100만 원을 빌릴 때 **금리가 10%**라면 110만 원을 갚아야 한다.

 


 

4. 금리가 낮으면 어떻게 될까?

  • 저축할 때:
    • 금리가 낮으면 돈을 맡겨도 이자가 적다.
    • 금리가 1%라면 100만 원을 맡겨도 1만 원만 벌 수 있다.
  • 돈을 빌릴 때:
    • 금리가 낮으면 돈을 빌리기 쉽다.
    • 금리가 1%라면 100만 원을 빌려도 101만 원만 갚으면 된다.

 


 

5. 왜 금리가 바뀌는 걸까?

정부나 중앙은행이 경제를 안정시키려고 금리를 올리거나 내린다.

  • 물가가 너무 오르면금리를 올린다.
    • 사람들이 소비를 줄이게 하려는 것이다.
  • 경제가 너무 안 좋으면금리를 내린다.
    • 사람들이 소비하고 투자를 더 하게 만들려는 것이다.
    •  

결론

  • 금리란 돈을 쓰거나 맡길 때 붙는 값이다.
  • 돈을 빌릴 때는 갚아야 할 추가 비용이고,
  • 돈을 맡길 때는 받는 보상이다.
  • 금리가 높으면 저축에 좋지만 대출에 불리하다.
  • 금리가 낮으면 대출에 유리하지만 저축 이자가 적다.

금리는 돈을 사용할 때 드는 비용이자, 돈을 맡길 때 받는 보상이라는 것을 기억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금리와 이자

 

1. 금리란 무엇인가?

  • **금리(Interest Rate)**는 **돈을 빌리거나 맡길 때 적용되는 비율(%)**이다.
  • 쉽게 말하면, 이자가 몇 퍼센트인지 나타내는 숫자이다.

👉 예시:

  • 은행에서 "금리가 5%"라고 하면,
  • 100만 원을 맡기면 5만 원의 이자가 붙는다는 의미이다.
  • 금리 = 이자가 붙는 비율이다.

2. 이자란 무엇인가?

  • **이자(Interest)**는 금리에 따라 실제로 받거나 내는 돈이다.
  • 즉, 금리를 적용해서 생긴 실제 금액이다.

👉 예시:

  • 금리가 **5%**이고, 네가 100만 원을 저축하면,
  • 받게 되는 5만 원이 이자이다.
  • 이자 = 금리를 적용해 나온 실제 돈이다.

3. 쉽게 정리하기


개념 예시
금리 이자가 붙는 비율(%) "금리가 5%" → 비율 표시
이자 금리를 적용한 실제 돈 "이자가 5만 원" → 받은 돈

4. 결론

  • 금리이자가 계산되는 비율이다.
  • 이자금리로 계산해서 실제로 받거나 내는 돈이다.
  • 쉽게 말하면, **금리는 퍼센트(%)이고, 이자는 실제 금액(원, 파운드)**이다.

둘은 연결되어 있지만, 금리는 비율을 말하고, 이자는 결과적인 돈을 의미한다. 

 

 

 

명목금리와 실질금리란 무엇인가?

명목금리와 실질금리는 돈의 가치를 이해할 때 중요한 개념이다. 쉽게 말하면, 명목금리는 겉으로 보이는 금리이고, 실질금리는 물가 상승을 반영한 실제 이익을 보여주는 금리이다.

  • **명목금리(Nominal Interest Rate)**란?
    • 은행이나 금융기관에서 표시하는 금리이다.
    • 예를 들어, 은행에 1년 동안 100만 원을 예금했을 때 명목금리가 5%라면, 1년 뒤에 105만 원을 받는다.
    • 그러나 이 5%는 물가 상승을 고려하지 않은 금리이다.
  • **실질금리(Real Interest Rate)**란?
    • 명목금리에서 물가 상승률을 뺀 금리이다.
    • 예를 들어, 명목금리가 5%인데 물가가 3% 올랐다면, 실질금리는 2%이다.
    • 실제로 돈의 구매력은 2%만큼 늘어난 셈이다.
    • 공식: 실질금리 = 명목금리 - 물가상승률

 


 

명목금리와 실질금리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1. 집 구입과의 관계

  • 명목금리가 높으면 대출 이자가 비싸진다.
    • 집을 살 때 대출을 받으면 이자 부담이 커진다.
    • 집값이 비싸고 대출금리가 높으면 집을 사려는 사람이 줄어든다.
  • 실질금리가 높으면 집값 하락 압력이 생긴다.
    • 대출 상환 부담이 커서 부동산 시장이 위축된다.

2. 물가와의 관계

  • 물가가 빠르게 오르면 실질금리가 낮아진다.
    • 은행에 돈을 넣어도 물가 상승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면 손해이다.
  • 물가가 안정되면 실질금리가 올라간다.
    • 저축이나 투자의 실질적인 이익이 커진다.

3. 주식과의 관계

  • 명목금리가 낮으면 주식 투자에 유리하다.
    • 은행 이자가 낮으면 사람들이 더 높은 수익을 찾아 주식 시장으로 몰린다.
  • 실질금리가 높으면 주식시장이 위축된다.
    • 안전한 예금만으로도 이익을 볼 수 있어서 주식 투자가 줄어든다.

4. 투자와 저축, 적금에 미치는 영향

  • 명목금리가 높으면 저축의 매력이 커진다.
    • 돈을 은행에 넣으면 더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다.
  • 하지만 물가가 많이 오르면 실질금리는 낮아진다.
    • 겉으로는 이자를 받지만 실제로 돈의 가치는 떨어진다.
  • 실질금리가 플러스일 때 적금이나 저축이 효과적이다.
    • 반대로 실질금리가 마이너스면 은행에 돈을 넣는 것이 손해가 된다.

 

명목금리와 실질금리가 서민에게 주는 영향

서민 입장에서는 생활비, 대출 이자, 저축 이자 등이 가장 큰 관심사이다.

  • 물가가 오르는데 실질금리가 낮으면 생활이 어려워진다.
    • 식비, 교통비 등 모든 비용이 오르는데 월급은 그대로라 생활이 빠듯해진다.
  • 대출이자 부담이 커진다.
    • 집을 사기 위해 대출을 받으면 매달 갚아야 할 금액이 늘어난다.
  • 저축의 가치가 떨어진다.
    • 은행에 돈을 넣어도 물가 상승으로 실제 구매력이 줄어든다.
    •  

 

한국과 영국의 명목금리와 실질금리 상황 비교 (2024년 기준)

한국의 상황

  • 명목금리: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약 **3.5%**이다.
  • 물가 상승률: 최근 3% 전후로 유지되고 있다.
  • 실질금리: 약 0.5% 정도이다.
  • 한국에서는 물가 상승이 금리 상승을 따라가지 못해 실질금리가 낮다.
  • 서민 영향:
    • 대출금리가 높아 집값 부담이 크다.
    • 저축을 해도 실질적인 이익이 적다.
    • 물가가 올라 생활비 부담이 커졌다.

영국의 상황

  • 명목금리: 영국 중앙은행 기준금리는 약 **5.25%**이다.
  • 물가 상승률: 약 4% 정도이다.
  • 실질금리: 약 **1.25%**이다.
  • 영국은 명목금리가 높아 대출이 어렵지만, 저축 시 이익이 크다.
  • 서민 영향:
    • 집을 사기 위한 대출 이자가 크게 올라 집 구매가 어려워졌다.
    • 저축 시 상대적으로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다.
    • 물가가 빠르게 올라 서민 생활비 부담이 커졌다.

 

예시로 보는 이해하기 쉬운 설명

한국에서의 예시

  • 은행에 1천만 원을 1년 동안 저축했다고 가정하자.
  • **명목금리 3.5%**라면 이자 35만 원을 받는다.
  • 그러나 **물가 상승률이 3%**라면 실질 이익은 5만 원이다.
  • 만약 생활비가 더 빠르게 오르면 실제로 손해를 보는 셈이다.

영국에서의 예시

  • 영국에서 £10,000 저축 시, **명목금리 5.25%**라면 £525 이자를 받는다.
  • **물가 상승률이 4%**일 때, 실질 이익은 약 £125이다.
  • 명목금리가 높아 저축할 땐 유리하지만, 대출을 받을 땐 부담이 크다.

결론

  • 명목금리는 겉으로 보이는 금리이며, 실질금리는 물가를 고려한 실제 이익을 보여준다.
  • 실질금리가 높으면 저축과 적금에 유리하지만, 대출이 어려워진다.
  • 실질금리가 낮거나 마이너스일 때는 저축의 가치가 줄어든다.
  • 한국은 현재 물가 상승률과 금리가 비슷해 실질금리가 낮고, 영국은 명목금리가 높아 저축은 유리하지만 대출은 부담스럽다.

서민 입장에서는 물가 상승률보다 실질금리가 얼마나 높은지가 중요하다.

실질금리가 높으면 저축과 투자가 안정적이지만, 실질금리가 낮으면 물가 때문에 실질 자산 가치가 줄어든다.

 

 

MBTI - ENTJ – "대담한 통솔자(The Commander)"- 직업추천, 연애, 장단점

ENTJ – "대담한 통솔자(The Commander)"ENTJ는 강한 리더십과 전략적 사고를 갖춘 성격 유형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는 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이다.이들은 도전적인 환경을 선호하며, 계획을

jennypodo.tistory.com

 

필수 영어 이디엄 English idiom 사전

필수 영어 BASIC -  English idiom  영어 이디엄 사전  필수 숙어 - 찾기 [컨트롤 키+ F] 1. 100 Essential English Idioms (Basic Level)1. Under the weatherFeeling sick몸이 안 좋은2. Break a legGood luck!행운을 빌어!3. Piece of

jennypodo.tistory.com

 

외국인 사주, 외국 출생 사주 - 반드시 알아야 할것!

명리학에서 태어난 나라와 시간 차이 1. 명리학에서 태어난 지역이 중요한 이유✔ 사주(四柱)는 태어난 연, 월, 일, 시를 기준으로 구성된다.✔ 한국과 중국은 같은 시간대를 사용하므로 큰 차이

jennypodo.tistory.com

 

경금일간 2025년 양력 3월 운세 - 일주별로 주의할점, 개운법

경금(庚金) 일간 2025년 3월(己卯월) 운세✅ 2025년 3월(己卯월)의 주요 기운 분석✔ 己(기토): 경금에게 **편재(偏財)**로 작용하여 금전적인 기회와 유동적인 재물운이 형성되는 시기이다.✔ 卯(묘

jennypodo.tistory.com

 

사주 - 애정운, 배우자운 보는법

사주에서 애정운과 배우자운 해석 - [재미로만] 사주에서 애정운과 배우자운을 결정짓는 요소는 대운(大運), 세운(歲運), 일주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재성(財星), 관성(官

jennypodo.tistory.com

 

상간소송과 이혼 - 소송 전 해야 할 일

배우자의 외도로 인한 이혼 소송과 상간자 소송 진행 방법배우자의 외도로 인해 이혼을 고려한다면, 감정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법적으로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 이혼 소송에서는 위자료, 재산

jennypodo.tistory.com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메신저 베스트 5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메신저를 순위별로 정리, 특징   1. WhatsApp 왓츠앱가장 많이 쓰이는 나라: 인도, 브라질, 인도네시아, 멕시코, 독일 등특징:간편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

jennypodo.tistory.com

 

 

돼지띠 운세 2025년 을사년 운세

돼지띠 1. 돼지띠 출생 연도와 한국 나이 (2025년 기준) 1) 돼지띠 출생 연도 (간지) 1935년 (乙亥) 1947년 (丁亥) 1959년 (己亥) 1971년 (辛亥) 1983년 (癸亥) 1995년 (乙亥) 2007년 (丁亥) 2019년 (己亥) 2) 돼지띠

jennypodo.tistory.com

 

반응형